#servlet 개념
server + applet (서버에서 돌아가는 자바파일) = servlet(jsp)
Dynamic Web Module 톰캣버전에 맞추어서 사용해야한다. (8.5는 3.0 or 3.1)
# log4j.xml
<!DOCTYPE log4j:configuration PUBLIC "-//APACHE//DTD LOG4J 1.2//EN" "log4j.dtd">
이걸쓰면 log4j.dtd를 찾지 못하는 오류가 생긴다. 그럴땐 log4j.xml이 있는 main/resources와 test/resources에
log4j.dtd를 구해서 넣어두면 없어진다.
dtd : document tag definition
# 상위와 하위 dependency의 존재
dependency 촤상위 의존성을 받으면 사진과 같이 아래의 Compile Dependencies를 같이 받아온다.
그러므로 최상위 의존성을 하나 받으면 하위 의존성을 받지 않아도 되기때문에
최상위만을 찾아서 가져와야한다.
# pom.xml(프로젝트설정) 의 Servlet 의존성들
pom.xml의 Servlet은 톰캣에서 제공하는 의존성이다.
본인의 톰캣이 8.0인데 <version>태그안의 버전을 4.0으로 바꾸면
적용이 되지않는다. 이유는 4.0은 톰캣 9.0부터 지원하기때문이다. (하지만 하위버전은 쓰면 적용이 된다.)
# pom.xml 의 <build>
maven-compiler-plugin
<target>과 <source>태그안의 버전을 ${java-version} 를 넣으면 pom.xml의 상단에 있는 java-version과 맞추어진다.
# Maven프로젝트의 Update Project
평소 프로젝트의 Run As의 maven-build를 통해서
# Markers
프로젝트를 하기전에 Markers창을 호출하여 이에 대한 모든 에러메시지를 깨끗한 상태에서
진행하도록 해야한다. 이는 본인의 발전과 연결되므로 에러메시지를 항상 없앨수있게한다.
# Web.xml (톰캣설정)
src/main/resources 폴더는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한 폴더
src/main/webapp 폴더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
root-context는 servlet-context를 읽을수 있어도 servlet-context는 root-context를 읽을수없다.
DispatcherServlet은 인포메이션센터같은 역활 (요청을 받아서 안내를 해주는 역활을 한다.)
그 안에서 요청받은 java class파일들을 컨트롤러와 매칭해서 보내준다.
'Days story > Day by da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데이터자격시험] 2023년도 시험일정 (0) | 2023.02.22 |
---|---|
보강 3일차 교육 내용 (0) | 2022.03.12 |
2월 26일 토요일 멘토님 첫 수업 (1) | 2022.02.26 |
최근댓글